변동금리 결정 방식 In arrear

변동금리 결정에서 **"in arrear"**는 금리 조정이 **과거 실적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방식**을 의미합니다. 이는 금리 조정 주기(예: 3개월, 6개월)가 끝난 후, 그 기간 동안의 기준 금리(예: 코픽스, LIBOR)를 반영하여 금리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. 즉, 금리 조정이 **사후적**으로 이루어집니다.


---


### **In Arrear 방식의 특징**


1. **과거 실적 반영**:

   - 금리 조정 주기(예: 6개월)가 끝난 후, 그 기간 동안의 평균 기준 금리를 계산하여 적용합니다.

   - 예: 6개월 동안의 코픽스 평균값을 계산해 변동금리를 조정합니다.


2. **예측 불가능성**:

   - 금리 조정이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, 향후 금리 변동을 미리 예측하기 어렵습니다.

   - 이는 차입자나 투자자에게 불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


3. **안정성**:

   - 이미 발생한 기준 금리를 반영하므로, 금리 조정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.

   -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덜 민감합니다.


---


### **In Arrear vs. In Advance**


- **In Arrear (사후 조정)**:

  - 금리 조정 주기가 끝난 후, 과거 기준 금리를 반영해 금리를 결정합니다.

  - 예: 6개월 동안의 평균 코픽스를 계산해 금리를 조정합니다.


- **In Advance (사전 조정)**:

  - 금리 조정 주기가 시작될 때, 현재 또는 예상 기준 금리를 반영해 금리를 결정합니다.

  - 예: 6개월 동안 적용될 금리를 미리 정합니다.


### **예시**


1. **In Arrear 예시**:

   - 대출 계약에서 변동금리가 "6개월 코픽스 평균 + 2%"로 설정된 경우:

     - 1월부터 6월까지의 코픽스 평균이 1.5%라면, 7월부터 적용되는 금리는 3.5%(1.5% + 2%)가 됩니다.


2. **In Advance 예시**:

   - 대출 계약에서 변동금리가 "현재 코픽스 + 2%"로 설정된 경우:

     - 1월에 코픽스가 1.5%라면, 1월부터 6월까지 적용되는 금리는 3.5%(1.5% + 2%)가 됩니다.


---


### **장단점**


| **구분**       | **In Arrear**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**In Advance**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|--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|

| **장점**       | - 과거 데이터를 반영하므로 안정적임.            | - 현재 시장 상황을 반영해 즉시 적용 가능.     |

| **단점**       | - 향후 금리 변동을 예측하기 어려움.             | -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민감함.                |


---


### **결론**

"In arrear" 방식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리를 조정하므로 안정적이지만, 미래의 금리 변동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반면 "in advance" 방식은 현재 시장 상황을 반영하므로 즉시 적용 가능하지만, 단기적인 변동성에 더 민감합니다. 투자자나 차입자는 자신의 리스크 관리 전략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댓글 쓰기

댓글 목록